안드로이드에서 구글 포토 사진 백업 자동화하기 📷
📌 서론: 구글 포토와 NAS 사진 백업 문제 해결
많은 사용자들이 NAS(시놀로지와 같은 네트워크 스토리지)에 사진을 백업하고 있지만, RAID가 없어 데이터 안정성이 불안할 수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구글 포토에도 백업하는 방안을 많이 사용하죠. 이번 글에서는 안드로이드 기기를 활용해 NAS에 저장된 사진을 구글 포토에 효율적으로 백업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구글 포토에서의 사진 백업 자동화 이해하기
1. 구글 포토 무제한 백업 설정
일부 안드로이드 기기에서는 구글 포토를 통해 무제한 사진 백업이 가능합니다. 특히 픽셀 기기나 리니지롬을 설치한 기기에서는 무료로 원본 사진을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 구글 포토 앱에서 자동 백업 설정을 통해 사진을 무제한 저장할 수 있습니다.
- 리니지롬 설치 시 일부 기기는 픽셀 기기처럼 인식되어 무제한 업로드가 가능합니다.
2. NAS에서 구글 포토로의 백업 과정
안드로이드 기기에서 NAS의 사진을 구글 포토로 업로드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시도됩니다. 주로 NAS 사진 폴더를 마운트하여 탐색기를 통해 구글 포토에 업로드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지만, 한 번에 선택할 수 있는 파일 개수가 제한되는 문제(1,000개 이상 선택 불가)가 있습니다.
🔄 구글 포토 자동 업로드를 위한 해결 방법
1. rclone을 통한 FTP 마운트
rclone을 사용해 NAS의 FTP 폴더를 안드로이드에서 마운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탐색기에서 NAS의 사진 파일이 보이게 되며, 구글 포토에서도 접근할 수 있습니다.
- rclone을 사용하여 NAS 폴더를 마운트하고, 구글 포토 앱에서 마운트된 파일을 인식하도록 설정
- 탐색기를 통해 NAS 폴더의 파일을 선택한 후 구글 포토에 업로드 가능
2. Tasker와 AutoInput 활용하기
Tasker와 AutoInput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구글 포토에 업로드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대량의 사진을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 Tasker 앱을 설치하고, 사진이 저장된 NAS 폴더에서 선택
- AutoInput을 통해 구글 포토로 사진 파일을 업로드하도록 설정
- 파일을 주기적으로 업로드하도록 자동화 설정
이 방법은 일정한 주기로 사진을 백업하고자 할 때 유용하지만 설정이 복잡할 수 있습니다.
📝 결론: 구글 포토 백업 자동화 최적화 방안
NAS에 저장된 사진을 구글 포토에 안전하게 백업하기 위해서는 rclone을 사용해 마운트한 후 Tasker와 AutoInput을 통해 자동화하는 방법이 유용합니다. 이렇게 하면 사진을 효율적으로 구글 포토에 업로드하고, NAS와 구글 포토의 이중 백업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간편한 설정을 원한다면 rclone을 통한 수동 백업을 추천합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 Q: 구글 포토에서 NAS 사진 폴더를 자동으로 백업할 수 있나요? A: rclone을 사용하여 NAS 폴더를 마운트한 후 구글 포토에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 Q: 1,000개 이상의 사진을 한 번에 업로드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A: Tasker와 AutoInput을 통해 자동으로 업로드하거나 rclone을 사용해 주기적으로 백업할 수 있습니다.
- Q: Tasker와 AutoInput 설정이 어렵나요? A: 다소 복잡할 수 있지만, 주기적인 자동 백업을 원한다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